글번호
27558

2022년 1학기 경진대회 우수자(IoT(통합) 설계 경진대회) - 팀장 김준영

수정일
2022.07.26
작성자
정보통신공학과
조회수
300
등록일
2022.07.26

안녕하세요. 2022년 정보통신공학과 통합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불사조의 팀장 김준영입니다. 먼저 경진대회의 개최와 진행을 맡아주신 교수님들께 감사드립니다. 이번 통합 경진대회는 처음 진행하는 대회로 각 학년별로 배운 상식과 기술들을 토대로 아이디어를 도출하였고 4학년인 박수영 팀원의 팀 운영 방향 제시와 함께 설계 코칭 피드백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팀 프로젝트를 운영하면서 배우고 얻은 몇 가지 정보를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아이디어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고 저희 조는 평소에 불편한 점과 현재 사회의 이슈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아이디어에 대한 현실적제한요소를 팀원들끼리 회의하고 합의점을계속해서 소통하였고 브레인스토밍, 시장조사, 특허조사, 과제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조사를 토대로 "전염병 예방 대중교통 어플리케이션"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아이디어는 소통을 하는만큼 더 좋은 아이디어가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두번째는 역할 분담 및 소통입니다. 가장 자신 있는 역할을 각각 맡고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회의할 때마다 진행 사항 확인, 역할 수행 결산, 다음 회의에 진행해야 하는 것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또한 소통과 피드백은 팀프로젝트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본인이 맡은 파트의 실수가 본인에게는 보이지 않을 경우도 있고 본인이 해결할 수 없는 상황도 오기 때문에 팀원들간의 회의와 피드백이 자주 이루어질수록 프로젝트의 완성도가 높아집니다. 이 과정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우게 되는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입니다. 프로젝트 기획이기 때문에 보고서의 내용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보고서는 팀원들이 노력한 결과가 분명히 눈에 보이는 성과입니다. 또한, 보고서를 체계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자신의 기준에서 보고서를 쓰는 것이 아니라 누군가 작성된 보고서를 봤을 때 어떤 프로젝트를 하는지, 내용은 무엇인지 등 보고서는 자세해야 하며, 쉽게 이해해야 합니다. 표와 사진, 기사 인용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보고서를 잘 써야 발표가 제대로 이어지기 때문에 보고서를 잘 작성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정보통신학우생 여러분들도 많은 대회에 참여하시고 좋은 결과 얻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