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
(현)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 출판이사, 한국영화학회 대외협력이사, 한국영상문화학회 편집위원, 아시아영화연구 편집위원, 여성인권영화제 자문위원, EBS국제다큐영화제 자문위원
부산국제영화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서울독립영화제, 서울국제프라이드영화제, EBS국제다큐영화제, 김포국제청소년영화제, 부일영화상, 전주독립영화제, 여성인권영화제,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대한민국청소년밀알영상제 심사위원 역임.
(전)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총무이사, 안양시 축제 추진위원,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자문위원, 안양국제청소년영화제 자문위원, EBS국제다큐영화제 프로그래머, 한양대 현대영화연구소 연구교수, 한신대 초빙교수, 용인대 초빙교수, 경성대 초빙교수.
저서
『K컬처 트렌드 2025』(공저), 미다스북스, 2024.
『영화는 역사가 아니다』(공저), 한국문화사, 2024.
『K콘텐츠 코드』(공저), 미다스북스, 2023.
『K컬처 트렌드 2024』(공저), 미다스북스, 2023.
『다시 한국영화를 말하다: 코리안 뉴웨이브와 이장호』(공저), 미다스북스, 2023.
『K컬처 트렌드 2023』(공저), 미다스북스, 2023.
『봉준호 코드』(공저), 미다스북스, 2022.
『필름 크래프트: 프로덕션디자이너』(역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필름 크래프트: 의상디자이너』(역서),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해방과 전쟁 사이의 한국영화』(공저), 박이정, 2017.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오늘』(공저), 본북스, 2016.
『시각문화의 매트릭스』(역서), 철학과현실사, 2007.
논문
「한국 현대사 영화의 흥행성과 대중 감성 코드 연구」, 『씨네포럼』 48, 2024,
「한국과 태국 합작영화 연구-나홍진과 <랑종>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96, 2023.
「리메이크 영화와 합작영화의 현지화 연구: 한국∙베트남 합작영화 <내가 니 할매다>, <고고 시스터즈>, <누의 가족>을 중심으로」, 『씨네포럼』 45, 2023.
「한국과 태국 합작영화 연구 - 나홍진과 <랑종>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96, 2023.
「미로와 구조와 수수께끼, 마스무라 야스조를 경우하여 <헤어질 결심>에 이르기」, 『프리즘오브』 스페셜 이슈, 2023.
「영화의 부활-팬데믹 이후 영화의 확장과 미래 형태」, 『영화평론』 34, 2022.
「<뜨거운 피>, 너무 늦게 등장한 소설가의 영화」, 『영화가 있는 문학의 오늘』 43, 2022.
「스마트미디어 시대 팬덤과 영화문화: 여성관객 네트워크와 수행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예술연구』 40, 2021.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양식적 진화」, 『인문사회 21』 12(2), 2021.
「1980~1990년대 동아시아 여성 스타덤 -강수연, 공리, 장만옥의 국제영화제 수상작을 중심으로-」, 『씨네포럼』 37,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영화관과 영화산업 전망」, 『한국예술연구』 29, 2020.
「미군 기지촌을 다루는 독립 다큐멘터리의 담론 변화」, 『인문사회 21』 11(4), 2020.
「해방 공간, 멜로드라마 영화의 수사학 - <해연>(1948) 이후 제작된 현존 멜로드라마를 중심으로-」, 『아시아영화연구』 13(1), 2020.
「이주여성을 그리는 21세기 한국영화들-엄마와 괴물 이중시선-」, 『현대영화연구』 38, 2020.
「민족과 여성 수난 서사를 헤집는 여귀의 한편 복수극 <월하의 공동묘지>(1967)」, 『영화평론』31, 2019.
「한국영화 미래100년 어젠다 연구」, 영화진흥위원회, 2019.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시네페미니즘」, 『nw4.5』 2, 2019.
「아수라장 속 캐릭터들의 향연, 그 안에서 피어나는 인간적 품격 <쓰리 빌보드>」, 『2019 ‘작가’가 선정한 오늘의 영화』, 2019.
「A Study on Relation between Indexicality of Digital Cinema and Evolution of Cinematic Language」,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7), 2018.
「불안사회의 거울, 2017년 한국영화의 경향−<1987>, <남한산성>, <밤의 해변에서 혼자>, <아이 캔 스피크>, <옥자>」, 『현대영화연구』 31, 2018.
「87년 체제에서 IMF까지 한국영화 주류 장르와 관람문화: 1987-1997년을 중심으로」. 『아시아영화연구』 10(2), 2018.
「기독교라는 ‘문제적’ 종교와 영화의 만남」, 『세계와 선교』 227, 2017.
「2016년 하반기 정국, 다큐멘터리 영화와 민주주의−<자백>, <무현, 두 도시 이야기>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27, 2017.
「한국 독립영화의 생산과 재현 공간에 대한 연구−1980-1987을 중심으로−」, 『철학ㆍ사상ㆍ문화』 23, 2017.
「화장품 광고 모델로 본 스타문화사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55, 2016.
「1980-1987 한국영화의 관람 공간: 관객, 장르, 극장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24, 2016.
「일본군 ‘위안부’ 소재 다큐멘터리의 기억 기록과 담론 전개 방식−<낮은 목소리> 3부작, <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 <레드마리아2>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68, 2016.
「<내부자들: 디 오리지널>, 범죄영화 장르의 진화와 폭력의 서사화 방식」, 『현대영화연구』 23, 2016.
「해방기 조선영화 <해연(일명: 갈매기의 꿈)>과 멜로드라마적 정치성」, 『한민족문화연구』 53, 2016.
「1930년대 오즈 야스지로 영화의 여성 연구―<비상선의 여자>(1933)와 <숙녀는 무엇을 잊었는가>(1937)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64, 2015.
「1930년대 한중일 영화의 신여성 비교 연구―<군용열차>(한국), <교차로>(중국), <숙녀는 무엇을 잊었는가>(일본)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6(2), 2015.
「가족 멜로드라마 <완득이>에서 재현되는 하층민ㆍ다문화 가족과 향수의 의미」, 『대중서사연구』 21권(1), 2015.
「2010년대 한국 청소년영화의 장르 구조와 사회성 연구」, 『한민족문화연구』 49, 2015.
“Some Noteworthy Documentary Films of Korea in 2014: Myself and Community, Inquiry into History and Exposure of Social Realities, and Aesthetic Experiment,” Film Critiques, vol. 7, FIPRESCI Korea, 2015.
“Cart, a Mainstream Social Criticism Film Both Enjoyable And Consciousness Raising,” Film Critiques, vol. 7, FIPRESCI Korea, 2015.
「화장품 광고와 근대여성-되기—1930년대에서 1950년대까지」, 『한민족문화연구』 45, 2014.
「유튜브 역사 다큐멘터리 연구―<백년전쟁>을 중심으로」, 『영화연구』 58, 2013.
「동시대 한국영화의 이주자 혼종문화와 이주공간: <로니를 찾아서>, <반두비>, <완득이>를 중심으로」, 『아시아영화연구』 5(1), 2012.
「이유 있는 반항: 1980년대 후반 학교문제를 다룬 하이틴영화」, 『영화연구』 49, 2011.
“The Existential Ego in the Space of the Others: Chinatown, Generic Renovation and Inheritance,” 『씨네포럼』, 12, 2011.
「상하이 여배우 롼링위의 신여성-되기: <신녀>와 <신여성>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10, 2011.
「심리적 디아스포라, 타자의 언어로 말하기」, 『영화평론』 23, 2010.
「식민지 조선의 도시적 삶과 <청춘의 십자로>(1934)」, 『현대영화연구』 7, 2009.
「위기의 한국영화, 비밀과 거짓말」, 『너머』 5, 2008.
「청춘잔혹물어, 재일한인영화의 디아스포라와 탈식민지 저항」, 『현대영화연구』 5, 2008.
「이미지즘과 표층의 힘, 그리고 한국뮤지컬 영화들」, 『씨네포럼』 9, 2008.
「이미지 없는 목소리, 아쿠스메트르에 대하여: <여고괴담 4: 목소리>와 <그 놈 목소리>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35, 2008.
「한만도 분단체제 확립 시기에 나타난 남북한 전쟁영화의 가족 드라마」, 『현대영화연구』 4, 2007.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매혹: 동시대 매혹의 시네마」, 『영화연구』 31, 2007.
“Across Borders of Documentary and Film: Iranian Documentary Film Close up,” 『씨네포럼』 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