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과(푸드코디네이터 및 외식경영 전공)
- 전공명칭 : 푸드코디네이터&외식경영학과
- 전공소개 : 외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스타일링, 메뉴개발 등의 기본자질을 익히고 습득을 통하여 취업과 창업 등에 실질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인재양성을 위한 실력을 함양한다.
- 교육목표 :
- 교육목적 : 푸드코디네이터&외식경영학은 급변하는 글로벌 국내외 시장의 변화에 부응하고 한국의 주요 다기관 및 기업체의 눈높이에 맞는 미래형 다재다능 식문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능력을 배양하여 취업과 창업을 활성화하고 국가와 사회에 기여함을 물론, 21세기 성결인의 지향 방향에 맞는 인재개발에 목표를 둔다.
- 푸드스타일링 및 실습 과정은 푸드스타일리스트의 개념 및 식문화에 대한 이해와 식자재 관련 지식, 색채 등 음식과 스타일링의 관계를 이해하고 테이블 아이템의 역사와 종류, 사용법 등의 기보 지식을 습득하고 실제 다양한 테이블을 실습함으로 급변하는 트렌드를 창출해 낼 수 있도록 지도자를 양성한다.
- 즐겁게 식사하는 것이 건강의 비결이다. 라는 말이 있다.
누구나 즐겁고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바라는 것이 인간 모두의 소망과 본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삶의 활력소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자를 양성한다. - 2020년 외식 열풍은 급작스러운 사회변화 현상으로 더욱더 높아질 것이다. 이제 한식은 세계적인 트랜드로 자리매김했다. 꾸준한 외식산업발달 및 세계화에 따라 전문적 지식을 가진 푸드코디네이트 및 스타일리스트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전반적인 개념 및 실습을 통한 식문화의 실천자, 지도자로서의 식의 어메니티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 함양과 응용, 창의적인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교육자를 양성한다.
- 졸업 후 진로 : 관련학과 교수 및 교강자, 식품전문회사, 출장뷔페 및 웨딩홀 등
경영학과(떡제조경영 전공)
- 전공명칭 : 떡제조경영학전공(The Department of Tteok Management)
- 전공소개 : 현대사회의 정보산업화로의 진입은 떡 산업 분야에서도 과거 주먹구구식의 제조방식에서 점차 계량화되고 표준화되어가고 있으며, 점차 과학적인 방법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으며, 떡의 사회적 수요와 소비를 주도해 나가고 있다. 이로 인해 떡 산업은 좀 더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과정에서는 떡 산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이론과 현장성의 상호보완 연구를 통해 한식 세계화 시대의 떡 산업과 교육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인을 양성하고자 한다.
- 교육목표 :
- 떡 산업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적인 전문인을 양성한다.
- 떡 산업의 경영과 관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지도자를 양성한다.
- 제병경영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교육할 수 있는 교육자를 양성한다.
- 졸업 후 진로 : 전통떡연구소, 식품개발부, 떡협동조합, 쌀소비촉진부, 떡볶이 연구소, 산학협력 기관, 제병학과 교수 및 강사. 떡세계화관련단체, 떡 체험장 및 떡연수원. 떡집창업, 초,중,고 건강식단 떡교사
약용작물산업학과(약용작물산업학 전공)
- 전공명칭 : 약용작물산업학전공(The Department of Medicinal Crops Industry)
- 전공소개 : 국민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며, 미래 유망 직업군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건강 분야가 되었다. 오래전부터 약용작물은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의약품의 원료이자 농가 소득원으로써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최근에는 영양학적 면이나 약리적 작용에 관해 관심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약용작물자원의 6차 산업화를 통한 소득증대와 교육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인을 양성하고자 한다.
- 교육목표 :
- 약용작물산업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창의적인 전문인을 양성한다.
- 약용작물산업의 경영·관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지도자를 양성한다.
- 약용작물을 연구하고 응용·확장할 수 있는 교육자를 양성한다.
- 졸업 후 진로 : 약용작물 관련학과 교수 및 강사, 건강식품전문관리사, 발효전문관리사, 약선전문관리사, 전통주전문관리사, 천연염색전문관리사, 향장전문관리사, 차전문관리사, 약용작물산업관리사, 농산물품질관리원, 약용작물재배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