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교과목해설(3학년)
교과목명 | 모바일프로그래밍 (Mobile Programming) | |
---|---|---|
교과목표 | 스마트폰의 출시와 함께 최근에는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 등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 본 과목에서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 안드로이드 SDK(Software Development Kit), JDK(Java Development Kit) 와 Eclipse 의 사용법을 익히고 실습하여 앱을 개발한다 . | |
관련역량 | 역량명 | 교과목별 수행준거 |
문제정의 및 모델링역량 | 삶을 윤택하게 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앱 개발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 . | |
요구이해 및 설계역량 | 스마트폰에서 동작하는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법을 익혀 요구사항과 제한조건을 반영한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 수 있다. | |
개발 협력역량 | 과제 수행에 있어 자신의 역할을 이해하고 협동능력을 발휘하여 팀 성과에 기여할 수 있다. |
교과목명 | 컴퓨터알고리즘 (Computer Algorithm) | |
---|---|---|
교과목표 | 컴퓨터 응용분야에서 자주 발생하는 실제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기본 개념 학습과 알고리즘 설계 및 분석방법을 습득한다 . 그래프 알고리즘 , sorting, searching, string matching 등을 배운다 . | |
관련역량 | 역량명 | 교과목별 수행준거 |
공학이론 검증역량 | 컴퓨팅 분야의 문제 해결에 필요한 이론이나 알고리즘을 수학적 분석이나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검증할 수 있다 . | |
요구이해 및 설계역량 | 요구사항과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최적의 알고리즘을 설계할 수 있다 . | |
공학기술 소통역량 |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한 팀 활동을 위해서 팀원 간에 원활히 의사소통할 수 있다 . |
교과목명 | 소프트웨어공학 (Software Engineering) | |
---|---|---|
교과목표 | 소프트웨어의 life cycle 과 각 단계에서의 프로세스 활동 및 작업을 이해하고 개발방법론과 도구 그리고 개발관리 기법 등을 배운다 . | |
관련역량 | 역량명 | 교과목별 수행준거 |
이론지식 응용역량 | 컴퓨팅 분야의 문제해결을 위해서 소프트웨어공학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 | |
문제정의 및 모델링역량 | 소프트웨어 개발 시 사용자 요구사항을 정의할 수 있다. | |
교과목명 |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 |
---|---|---|
교과목표 | 지능적인 시스템 개발을 위해 필요한 인공지능의 기본 개념 , 탐색 기법 , 지식 표현 , 계획 , 기계학습 등을 학습한다 . | |
관련역량 | 역량명 | 교과목별 수행준거 |
이론지식 응용역량 | 인공지능 문제 해결에 필요한 탐색 기법 , 지식 표현 방법 , 계획 수립 방법 , 기계학습 기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 |
문제정의 및 모델링역량 | 인공지능 관련 알고리즘 중 하나를 문제 해결에 적용할 수 있다.. | |
교과목명 | 컴퓨터구조 (Computer Architecture) | |
---|---|---|
교과목표 | 중앙처리장치 , 기억장치 , 입출력장치 등과 같은 컴퓨터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와 동작원리를 살펴본다 . 특히 , 캐시 기억장치 , 연산논리장치 , 제어유니트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의 동작원리와 명령어의 실행 원리에 대해서 살펴본다 . 병렬처리장치 , 멀티코어프로세서 , 클라우드컴퓨팅 등과 같은 최신 기술을 살펴본다 . | |
관련역량 | 역량명 | 교과목별 수행준거 |
공학기술 및 도구 활용역량 | 컴퓨터구조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와 도구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할 수 있다.. | |
기술변화 적응역량 | 컴퓨터구조 분야의 기술변화를 인지하고 전시회, 세미나, 전공 서적 등을 통해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
교과목명 |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 | |
---|---|---|
교과목표 | 시스템 소프트웨어들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운영체제의 핵심내용을 학습함으로써 운영체제 설계자와 시스템 프로그래머에게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 주요내용으로 프로세스 관리 , 교착상태 탐지 및 해결 , 기억장치 관리 기법 , CPU 스케줄링 , 디스크 스케줄링 , 파일 시스템의 구조 및 관리 기법들을 학습한다 . | |
관련역량 | 역량명 | 교과목별 수행준거 |
이론지식 응용역량 | 운영체제의 주요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 수학 및 과학 지식을 활용할 수 있다. | |
공학이론 검증역량 | 운영체제의 주요 이론을 이해하고, 이에 대해 글이나 발표, 프로그래밍 등을 통해 올바른 이론을 설명할 수 있다. | |
교과목명 | 임베디드시스템(Embedded Systems) | |
---|---|---|
교과목표 | 임베디드 시스템의 구조 및 전체적인 개념에 대하여 학습한다.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환경 구축 및 임베디드 운영체제 탑재 방법을 학습한다. 구성된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환경에서 다양한 임베디드 프로그래밍 기법을 습득한다. | |
관련역량 | 역량명 | 교과목별 수행준거 |
문제정의 및 모델링역량 | 사용자가 원하는 임베디드 S/W의 요구사항 정의할 수 있다. | |
공학기술 및 도구 활용역량력 |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S/W 개발을 위해 임베디드 프로그래밍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 | |
요구이해 및 설계역량 | 사용자 요구사항 기반 임베디드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
교과목명 |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 |
---|---|---|
교과목표 | 인간의 지식이 투영된 프로그램에 따라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동작하지 않고, 학습을 통해 지능적으로 동작하는 기계 또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머신러닝(기계학습) 기법을 학습한다.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심층 학습(deep learning) 등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과 이들을 활용한 문제 해결 방법을 다룬다. | |
관련역량 | 역량명 | 교과목별 수행준거 |
공학기술 및 도구 활용역량 | 머신러닝 기반 시스템 개발을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 도구 또는 API를 활용할 수 있다. | |
요구이해 및 설계역량 |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머신러닝 기반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 | |
교과목명 | 웹응용기술(Web Application Technology) | |
---|---|---|
교과목표 | 풀스택(프론트엔드와 백엔드)에 대한 개념을 배운다. 웹개발 기본 언어에 해댕하는 Java Script를 학습하며 Node.js 를 활용하여 웹 응용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팀별 웹 응용 시스템 설계 및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웹 개발 이해도를 높인다. | |
관련역량 | 역량명 | 교과목별 수행준거 |
요구이해 및 설계역량 |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에 대한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요구사항과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웹 응용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다. | |
개발 협력역량 | 팀원의 역할과 책임(Role & Responsibility)을 정확히 이해하고 팀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팀에 공헌할 수 있다. | |
교과목명 | 전공종합설계 (1)(Capstone Design(1)) | |
---|---|---|
교과목표 | 전공종합설계는 기 학습한 수학 , 과학 , 교양 , 과학 등의 지식을 토대로 요소 , 프로세스 , 시스템을 설계하는 과목으로서 , 팀별로 지도 교수의 지도하에 연구 주제를 설정 , 요구 사항 분석 , 설계 , 명세 , 구현 , 평가 등의 전 과정을 수행하는 과목이다 . | |
관련역량 | 역량명 | 교과목별 수행준거 |
문제정의 및 모델링역량 | 종합설계 주제를 찾아서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발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 . | |
이론지식 응용역량 | 종합설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수학 및 과학 지식을 활용할 수 있다. | |
공학이론 검증역량 | 종합설계 과정에서 필요한 주요 이론을 수식이나 프로그래밍을 이용해서 검증할 수 있다. | |
공학기술 및 도구 활용역량 | 종합설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자료, 개발환경, 프로그래밍 언어가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할 수 있다. | |
개발 협력역량 | 정의한 종합설계 주제에 따라 요구사항과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그 요소들을 설계할 수 있다. | |
요구이해 및 설계역량 | 종합설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요구사항과 제한조건을 고려하여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그 요소들을 설계할 수 있다. |
전문교양 해설 (공통)
교과목명 | 채플 (Worship Service) | |
---|---|---|
교과목표 | "전인적인 하나님의 사람양성"하는 대학이념의 구현하에 예배를 통하여 하나님에 대한 신앙, 기독교인의 사명, 기독교 인성을 배양하는 목적으로 전학생에게 부여된 예배 활동이다. | |
관련역량 | 역량명 | 교과목별 수행준거 |
기독교적 인성 | 예배를 통해 절대자인 하나님의 권위를 존중하고 기독교적 인성과 소양 역량을 배양 강화할 수 있다. | |
세계 시민 | 글로벌 시대에서 요구되는 어학능력, 소통능력, 이해능력, 문제해결능력 등의 의사소통 역량을 배양하고 강화할 수 있다. | |
교과목명 | 영어커뮤니케이션(1),(2) (English communication(1),(2)) | |
---|---|---|
교과목표 | 영어에 대한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학습 목표를 두고 기초적인 말하기 및 듣기 능력을 개발한다. | |
관련역량 | 역량명 | 교과목별 수행준거 |
세계 시민 | (1) 글로벌 시대에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 영어로 의사소통을 경험할 수 있다. (2) 글로벌 시대에 다양한 상황에서 영어적 사고에 의한 표현을 할 수 있고 상당한 수준의 의사소통을 할 수있다. | |
소통 협력 | (1) 글로벌 시대에 실무 현장에서 영어로 기초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영어를 포함한 영미문화를 습득할 수 있다. (2) 영어는 직무 역량 배양과 강화된다. 영어에 의한 의사소통으로 글로벌 시대의 업무의 협력 능률을 경험할 수 있다. |
교과목명 | 기독교로의 초대 (Invitation to Christianity) | |
---|---|---|
교과목표 | 종교에 대한 이해와 예수그리스도를 통한 기독교회의 형성과 역사 및 한국기독교회를 이해하고, 청년들의 관심사항을 기독교 세계관으로 볼 수 있는 시각을 갖게 한다. | |
관련역량 | 역량명 | 교과목별 수행준거 |
기독교적 인성 | 기독교인들이 가져야 할 기독교적 인성(사랑, 배려, 관심, 인격적 존중, 정직, 성실, 소망, 긍정적인 삶의 자세)과 소양 역량을 배양하고 강화할 수 있다. | |
세계 시민 | 기독교인들의 이웃에 대한 봉사와 리더십을 배양하고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타인에 대한 헌신과 희생을 기를 수 있다. | |
교과목명 | 신앙으로의초대 (Invitation to Faith) | |
---|---|---|
교과목표 |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에 대한 핵심주제와 인물들을 다루고, 기독교 신앙인으로서의 삶을 위해서 필요한 가치, 정체성, 삶의 목적, 예배, 돈과 명예, 사랑, 관계에서 오는 행복, 죽음에 대한 주제를 다룬다. | |
관련역량 | 역량명 | 교과목별 수행준거 |
기독교적 인성 | 신구약 성경 66권을 이해 할 수 있고, 초대교회 시대의 배경, 인물, 사건들을 이해할 수 있어서 기독교 인성을 기를 수 있다. | |
세계 시민 | 기독교 인물을 이해하고 그들에 의한 이웃에 대한 사랑과 봉사를 배양하고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