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부소개
음악학부는 학생들이 지닌 음악적 기량과 예술적 창의성을 계발하여 21세기에 필요한 실력 있는 연주가, 소통하는 교육자, 창의적 예술기획자를 길러내고자 합니다.
1988년 첫 신입생을 맞이한 이후 33년의 빛나는 전통을 쌓아 온 우리 음악학부는 ‘우수한 교수진, 내실 있는 교육과정, 학구적이고 진지한 학풍’을 자랑하며, 음악계와 사회에서 그 실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21세기는 그 어느 때보다 창의성과 감성으로 인공지능 시대를 이끌어갈 예술가들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음악학부는 이러한 미래를 내다보며 학생들의 니즈에 맞춘 교과·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실기 기량 향상과 진로 준비에 힘쓰고자 합니다.
- 뛰어난 연주력과 풍부한 교육경력을 지닌 우수 교수진에 의한 세심한 상담과 진로 지도
- 여름 캠프, 국내외 교수 초청 마스터클래스 등 학생 개개인의 잠재 가능성과 적성 발달에 중점을 둔 교육과정
- 교내외 많은 연주회를 통한 연주 기량 및 창의적 기획력 실습, 봄·가을 정기연주회, 전공별 페스티벌 및 기획연주회, 학술정보관 작은 음악회, 실기우수자연주회, 동·하계 캠프
- 취 창업 준비 프로그램 운영: 예술융합교육 지도사 자격증(교과 과정), Adventure PA 지도사 자격증, My First Piano 지도자 자격증(비교과 과정), 유아피아노 지도실습
- 동아리 활동을 통한 다양한 실무 실습 연주동아리(SK Piano Society, The Saints, 콘서트콰이어), 취업 동아리(예술기획), 봉사동아리(The Dream Players)
- 안양문화예술재단, 안산문화예술재단, 비손컬쳐 등 산업체와의 산학협력에 의한 현장실습
- 해외 대학과 정기적 교류활동 : 미국 Delta State University (미시시피주), Indiana Wesleyan University(인디애나주) 등.
전공 - 성악전공
전공소개
음악 연주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성악 전공은 오페라, 오라토리오, 가곡 등을 연주하는 예술가를 양성하며 성악의 기술을 바탕으로 시대가 요구하는 성악 연주자들을 배출합니다. 성악은 몸 자체가 악기이므로 신체구조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론과 구체적인 실습을 통하여 불확실하고 추상적이던 기초 호흡, 발성 훈련을 습득게 합니다. 또한,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므로 영·미,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러시아어 등 5개 국어 이상의 Diction 수업을 위하여 세분화된 전공 교수를 모셔 지도하며 또한 국내외 유명 성악가 초청 마스터 클래스를 비롯해 성악페스티벌(학년별, 주제별 연주 및 오페라 발표회) 및 실기 우수자 연주회 등 많은 연주의 기회가 주어지게 됩니다. 무엇보다 우수한 교수진에 의한 체계적인 실기 교육을 강점으로 삼고 있습니다.
교육목표 및 실천방안
성악 예술의 유능한 성악 지도자를 양성하고, 전문적인 음악인을 양성하고 신앙적 깊이를 겸비해 교회와 사회를 위해 봉사하는 음악인을 양성하는 것이 교육 목표입니다. 이를 위하여 실제적인 표현을 위한 가창력을 향상시키고, 학문적 이해를 위한 다양한 이론 학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졸업 후 진로 및 전망
- 대학원, 교육대학원, 예술경영 대학원 및 유학
- 직업합창단, 합창단 지휘자, 실기 지도강사
- 오페라, 뮤지컬 단원 등, 전문연주가
전공 - 피아노
전공소개
피아노는 모든 음악 활동의 기본이며 필수인 악기로서 피아니스트는 다양한 역할을 담당할 폭넓은 음악성과 능력을 필요로 합니다. 우리 피아노전공은 우수한 교수진에 의한 체계적인 실기 교육, 그리고 반주실습, 워크숍, 문헌, 교수법, 앙상블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전공 이론과정을 강점으로 삼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유명 피아니스트 초청 마스터 클래스를 비롯해 Piano, Piano(피아노전공연주회), 세미나, 여름 및 겨울 방학 기간에 교내 캠프를 통해 실력을 다질 수 있으며 앙상블연주회, Honor Recital(실기우수자연주회), 학술정보관 음악회 등 많은 연주기회가 주어집니다.
교육목표 및 실천방안
- 충실한 기본 테크닉과 음악성으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할 실력 있는 연주가를 양성한다.
- 매주 1회의 레슨에서는 바로크에서 현대에 이르는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통해 다양한 레퍼토리를 익히도록 하며, 피아노 워크숍ㆍ반주실습ㆍ앙상블 등의 교과목과 마스터클래스 캠프 등의 프로그램 및 다양한 연주회를 통하여 충실한 테크닉과 풍부한 음악성 연주 경험을 쌓도록 한다.
- 음악 전반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실용적 능력을 갖춘 음악교육자를 양성한다.
- 건반 음악의 이해를 비롯한 음악 이론 및 문헌 과목을 통하여 음악 전반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갖추며, 지휘법, 컴퓨터음악, 피아노교수법의 교과목을 통하여 교육 현장에 필요한 실용적인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지역사회에 창의적이고 능동적을 봉사하는 음악행정·경영인을 양성한다.
- 재학 기간 중 학술정보관 음악회, 교회음악 등 음악을 통한 봉사 활동을 장려하며, 교내 음악회의 기획 및 진행에 참여하여 행정 경험을 쌓도록 한다.
졸업 후 진로 및 전망
- 대학원 진학 및 유학(일반대학원, 페다고지 대학원, 반주 전공 대학원, 교육대학원)
- 개인교수, 피아노교습소, 피아노학원 운영 및 방과 후 실기지도교사
- 합창단, 솔리스트, 선교단, 교회의 지휘자 및 반주자, 실내악단 연주단체의 피아니스트